[A+]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 습도 變化(변화) 비교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0-27 12:45
본문
Download : [A+]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 습도 변화 비교.hwp
문의 개폐한 대주 208호의 경우 창문을 전면 또는 부분 개방한 시간대는 외기의 상태와 근접한 온도상태로 alteration(변화)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따 이는 현대 공동주택의 통풍력이 우수한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할 수 있는데, 전통주택에 비해 현대 공동주택은 상대적으로 고층이며 창호의 면적이 넓고 맞통풍이 잘 유도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된다.레포트/인문사회
,인문사회,레포트
순서
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
Download : [A+]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 습도 변화 비교.hwp( 14 )
북쪽 부엌의 경우, 거실에 비해 온도가 낮으며 외기의 effect(영향) 을 덜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따 이는 부엌이 열적으로 변동이 적은 북쪽에 위치하고 있고 일사가 미치지 못하여 이에 의한 effect(영향) 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은 때문으로 사료된다된다.
2) 습도alteration(변화)
온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방 및 대청의 경우, 습도alteration(변화) 가 부엌의 경우에 비해 크지 않으며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.
문이 폐쇄된 상태인 전통주택의 경우, 습도가 거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따 이는 흙벽의 보습능력 때문으로 사료된다된다. 즉, 흙벽이 어느 정도 습기를 품으면 일정시간은 습도에 관…(To be continued )
..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 , [A+]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 습도 변화 비교인문사회레포트 ,
[A+]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 습도 變化(변화) 비교
..
설명
다. 부엌의 경우에는 외부 습도의 effect(영향) 을 많이 받고 있는데, 이는 역시 실 밀폐의 정도가 안방 및 대청의 경우보다 양호하지 못하여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된다.